카지노 게임 추천 고려도경 ()

고려시대사
문헌
1123년(인종 1), 송나라 사절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저술한 견문록.
이칭
이칭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1123년(인종 1)~1126년(인종 4)
간행 시기
1167년(의종 21)
저자
서긍(徐兢)
권책수
40권
표제
宣和奉使高麗圖經(선화봉사고려도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게임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은 1123년(인종 1) 송나라 사절의 한 사람으로 카지노 게임 추천에 왔던 서긍이 저술한 견문록이다. 총 28문(門), 301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0권이다. 카지노 게임 추천인이 아닌 송의 사신의 시각으로 12세기 당시 카지노 게임 추천 사회를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카지노 게임 추천사』나 『카지노 게임 추천사절요』에서 전하지 않는 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가 높다.

정의
1123년(인종 1), 송나라 사절로 고려에 왔던 서긍이 저술한 견문록.
저자 및 편자

1123년(인종 1) 서긍(徐兢)이 송(宋)나라 휘종(徽宗)의 명을 받고 사절로 카지노 게임 추천에 와서 견문한 카지노 게임 추천의 여러 가지 실정을 그림과 글로 설명했기 때문에 ‘도경(圖經)’이라 하였다.

서지 사항

1126년(인종 4) 금(金)나라가 송나라의 수도 개봉(開封: 변경(汴京))을 함락시킬 때, 휘종에게 바친 정본이 없어졌다. 1167년(의종 21) 서긍의 조카 서천(徐蕆)이 서긍의 집에 있던 부본에 의거해서 징강군(澂江郡)에서 간각(刊刻)하였다. 그 부본에는 그림이 없었기 때문에 그림이 없는 도경이 되고 말았다. 이 간본은 간행의 연대 · 장소에 따라 ‘건도각본(乾道刻本)’ 또는 ‘징강본(澂江本)’이라고도 한다. 카지노 게임 추천 인종(仁宗)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확인되지 못하고 있다.

이 책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청(淸)나라 때 포정박(鮑廷博)이 편찬한 『지부족재총서(知不足齋叢書)』에 이 책을 수록 · 간행하면서 비롯되었다. 포정박은 발문에서 ‘건도(建都) 3년에 간행된 송판본(宋版本)과 간행 연대 미상의 카지노 게임 추천본이 있으나 볼 수가 없고, 세상에 유전하는 것은 명(明)나라 말기의 정휴중(鄭休仲)의 중간본(重刊本: 정본(鄭本))뿐이다. 이 정본(鄭本)은 탈자가 수천 자에 달하고, 또 착간(錯簡)으로 읽을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그 간본이 좋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하여 포정박은 자기 소장의 사본과 정본을 참합(參合), 간행하였다. 그러나 그 지부족재본(知不足齋本)도 미비한 점이 많았다. 그는 발문에서 송판본의 출현을 기다려 그 잘못을 바로잡겠다는 말로써 아쉬움을 표하였다.

1910년대 초 일본인들의 조선고서간행회에서 지부족재본을 대본으로 활인(活印)하였고, 1932년 일본인 학자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조선학총서(朝鮮學叢書)』의 하나로서 활인하였는데, 역시 지부족재본을 대본으로 하였다. 또한 건도 3년에 간행된 송판본 한 질을 소장하고 있던 중국 북경(北京)의 고궁박물원(故宮博物院)에서 1931년 『천록임랑총서(天祿琳琅叢書)』 제1집의 하나로서 영인하였다. 이것은 현재 미국 하버드대학의 합불연경도서관(哈佛燕京圖書館)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0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에서 다시 영인하였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정식 명칭은 『선화봉사카지노 게임 추천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인데, 흔히 줄여서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高麗圖經)』이라 부르고 있다. 서긍은 개성(開城)에 한 달 남짓 머무르는 동안, 그의 견문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지었다. 서긍은 돌아가, 곧 이 책을 만들어 휘종에게 바치고 그 부본을 집안에 두었다. 휘종은 책을 보고 크게 기뻐해 동진사출신(同進士出身)을 내리고, 지대종정승사(知大宗正丞事)로 발탁하였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건국(建國), 세차(世次), 성읍(城邑), 문궐(門闕), 궁전(宮殿), 관복(冠服), 인물(人物), 의물(儀物), 장위(丈衛), 병기(兵器), 기치(旗幟), 거마(車馬), 관부(官府), 사우(祠宇), 도교(道敎), 민서(民庶), 부인(婦人), 조예(皂隷), 잡속(雜俗), 절장(節杖), 수조(受詔), 연례(燕禮), 관사(館舍), 공장(供張), 기명(器皿), 주즙(舟楫), 해도(海道), 동문(同文) 등 모두 28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301개의 항이 있다. 카지노 게임 추천의 건국과 왕위의 계승, 개경(開京) 시내의 모습과 정치 제도, 카지노 게임 추천의 중요 인물에 대한 품평 및 각종 제도, 그리고 송에서 카지노 게임 추천에 이르는 해로(海路) 등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카지노 게임 추천에 수록된 내용은 중국인의 시각으로 본 고려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카지노 해외ACE0;카지노 해외B824;카지노카지노 룰렛 룰ACE0;카지노 룰렛 룰B824등 연대기 기록과 각종 문집(文集)이나금석문(金石文)에 나오지 않는 것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현재 미술사 연구에서 카지노 게임 추천의 기명(器皿) 관계 기록이 많은 참고가 되고 있으며, 선박이나 해도와 관계된 비교적 상세한 기록을 남기고 있기 때문에 해양사(海洋史)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사회경제사(社會經濟史) 및 정치사(政治史)와 제도사(制度史), 도시사(都市史) 연구에서도 많은 참고가 되고 있다. 또한 12세기 당시 관료 사회 및 백성들 사이에서 전해지고 있었던 풍속이 소개되어 있으며, 인종 즉위 초 정치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에 대한 평가까지 수록되어 있다.

원래는 카지노 게임 추천에서 보고 들은 것을 글로 설명하고 그림을 덧붙이고자 하였으나, 현재 남아 있는 판본 모두가 그림은 없어지고 오직 글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송의 사신으로 카지노 게임 추천에 관한 기사를 남긴 것으로는 오식(吳栻)의 『계림기(鷄林記)』(20권), 왕운(王雲)의 『계림지(鷄林志)』(30권), 손목(孫穆)의바카라 카지노ACC4;바카라(3권)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완전히 없어졌거나 겨우 그 일부분만이 전하고 있을 뿐이어서 카지노 게임 추천이 가지고 있는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고려의 역사적 사실을 잘못 이해하고 서술한 부분도 적지 않다. 따라서 이 자료의 이용에는 반드시 엄밀한 사료 비판과 검토, 그리고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원전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高麗圖經)』(이화사학연구소영인본, 1970)

단행본

서긍 지음, 민족문화추진회 역, 카지노 게임 추천(서해문집, 2005)
서긍 지음, 조동원 역, 카지노 게임 추천(황소자리, 2005)
국립문화재연구소,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 숨은 그림 찾기』(2019)

논문

김난옥, 「중국문헌의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 인식 양상과 카지노 게임 추천인식」(『한국중세사연구』 56, 한국중세사학회, 2019)
김병인,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에 비친 카지노 게임 추천인들」(『한국중세사연구』 55, 한국중세사학회, 2018)
김태현, 「카지노 게임 추천전기 개경 시장과 사시 기우제」(『한국사연구』 191, 한국사연구회, 2020)
문경호, 「카지노 게임 추천도경을 통해 본 군산도와 군산정」(『지방사와 지방문화』 18, 역사문화학회, 2015)
박정민, 「카지노 게임 추천청자 연구에 있어서 『선화봉사카지노 게임 추천도경』의 활용양상과 가치」(『미술사학연구』 304, 한국미술사학회, 2019)
윤성재, 「카지노 게임 추천에 보이는 고려의 의식주」(『한국중세사연구』 55, 한국중세사학회, 2018)
최응천, 「카지노 게임 추천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한국중세사연구』 55, 한국중세사학회, 201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게임 추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게임 추천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 게임 추천]'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