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중대에 들어와 9주5소경(九州五小京)가 확립되면서 성립하는 군태수(郡太守)의 전신이다. 신라 중고시대는 지방통치제도가 그 자체 군사적인 색채를 강하게 지니고 있었던 만큼 군단조직과 지방통치조직을 확연하게 구분짓기란 어렵다.
당주는 업 카지노이면서 동시에 군단장으로서의 기능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당이란 원래 군대에서 사용하는 깃발이나 부대 자체를 뜻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당주는 군사적인 성격을 강하게 띤 업 카지노이라 하겠다.
이러한 성격의 당주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6세기 중엽에 건립된 단양신라적성비(丹陽新羅赤城碑)이다. 비문에는 추문촌당주(鄒文村幢主)와 물사벌성당주(勿思伐城幢主)라는 직명이 보인다.
이 기록에 의하면 당주가 마치 하나의 성(城)·촌(村)을 관할하는 업 카지노처럼 보이기도 하나, 이들은 몇 개의 성·촌을 하나의 단위로 하는 지역을 관할하는 군관구적 성격의 업 카지노이다.
561년에 건립된 창녕진흥왕순수비(昌寧眞興王巡狩碑)에는 주(州)의 장관인 군주(軍主)와 성·촌에 파견된 업 카지노인 도사(道使)가 당주와 나란히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당주가 군주와 도사를 매개하는 중간적 성격의 업 카지노임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당주는 지방민으로 편성된 독자적인 군단을 지휘하는 업 카지노이라 하겠다. 그런데 진평왕 때 이후 지방행정과 군단조직이 점차 분화되면서 당주의 군사적 기능은 중앙군단으로 이양되어 새로운 군단의 명칭을 사용한 당주가 만들어지고, 지방행정관으로서의 기능은 군태수로 이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