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2책. 석인본. 1950년 아들 형래(滎來), 문인 조현수(趙顯洙)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최병심(崔秉心)의 서문과 저자의 자서(自敍)에 이어 권말에 이병은(李炳殷)의 발문이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 독립기념관 · 전북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을미사변 때 민비(閔妃) 시해 사건과 단발령 실시로 촉발된 의병 운동의 전말을 밝히고, 아울러 유인석(柳麟錫) · 김복한(金福漢) · 홍계훈(洪啓薰) · 박원영(朴源永) · 정상섭(丁相燮) 등의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
권2는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에 관한 전말을 밝히고, 이 늑약에 반대하다가 순절한 민영환(閔泳煥) · 조병세(趙秉世) · 송병선(宋秉璿) · 이응익(李應翼) · 이준(李儁) 등의 전기를 싣고 있다.
권3은 1907년 고종의 양위와 군대 해산으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활약상을 밝히고, 아울러 최익현(崔益鉉) · 안중근(安重根) · 임병찬(林炳瓚) · 민종식(閔宗植) · 이강년(李康年) · 허위(許蔿) · 민긍호(閔肯鎬) · 이석용(李錫庸) · 전기홍(全基泓) · 기우만(奇宇萬) 등 20명의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
권4는 1910년 경술국치의 전말을 밝히고, 홍범식(洪範植) · 황현(黃玹) · 박세화(朴世和) · 송병순(宋秉珣) · 최병심(崔秉心) 등 37명의 전기를 싣고 있다.
권5·6은 절의문(節義文)으로, 일제의 침략에 항거해 절의를 지키거나 순절한 열사들의 상소 · 격문 · 포고문 · 유서 · 유시(遺詩) · 서한 · 토오적문(討五賊文) · 치일본정부서(致日本政府書) · 치파리장서(致巴里長書) 등 33편의 배일 문건을 수록하였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에 이렇듯 많은 한말 비사(秘史)를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었다는 점이 특징이며, 애국 투사들의 행적을 집성하여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 한말의 독립 운동과 의병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