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는 1,157m이다.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한 산이다. 미지산(彌智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조선 태조가 등극하면서 용문산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용문산의 지질은 경기편마암 복합체에 속하는 편암류와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으며, 북쪽에는 봉미산(鳳尾山, 856m), 동쪽에는 중원산(中元山, 800m), 서쪽에는 대부산(743m)이 있다. 경기도 내에서 화악산과 명지산 다음으로 해발고도가 높다. 식생은 산입구에 이깔나무 숲, 잣나무숲, 잡목숲이 있으나 정상부엔 나무가 별로 없는 편이다. 산정에 가까운 고도 800∼1,000 부근에서 분비나무가 관찰된다.
산세가 웅장하고 계곡이 깊어 예로부터 명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용문사(龍門寺)를 비롯하여 윤필암(潤筆庵)ㆍ상원사(上院寺) 등의 사찰이 있다. 용문사는 649년(진덕여왕 3) 원효(元曉)에 의해서 창건된 사찰로 1907년 의병과 왜군과의 싸움 때 왜군에 의해서 소진되었다가 다시 재건되었으나 6ㆍ25때 다시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이 사찰의 경내에는 1971년 보물로 지정된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와,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가 있다. 용문사정지국사부도 및 비는 1395년(태조 4)에 입적한 정지국사(正智國師)를 기념해서 조안(祖眼) 등이 건립한 것으로, 여기에 새겨진 비문은 권근(權近)의 글이라고 한다.
은행나무는 수령이 약 1,100년으로 추정되며,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세자 마의태자(麻衣太子)가 심었다는 전설과 신라의 의상(義湘)이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아 놓은 것이 이처럼 성장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이 밖에도 장군수라는 약수가 있어 많은 관광객과 등산객이 찾아든다. 용문산 정상은 이전에는 군부대가 위치하여 출입금지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정상의 신선 바위까지 오를 수 있다. 정상은 시야가 확 트이며 용문들, 유명산, 중원산, 도일봉 등의 높고 낮은 산자락이 시야에 펼쳐진다.
산의 동북쪽 기슭에는 산음자연휴양림이 있으며, 남서쪽 기슭에는 설매재 자연휴양림이 있어 주말을 보내려는 관광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