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룰렛 룰 용재총화 ()

용재총화
용재총화
구비문학
문헌
조선전기 학자 성현이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의 민간 풍속 · 문물 제도 · 문화 · 역사 · 지리 등 문화 전반을 다룬 잡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룰렛 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학자 성현이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의 민간 풍속 · 문물 제도 · 문화 · 역사 · 지리 등 문화 전반을 다룬 잡록.
내용

10권. 1525년(중종 20) 경주에서 간행되어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전해 오던 것이,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간행한 『대동야승(大東野乘)』에 채록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성현은 예문관 · 성균관의 최고 관직을 역임한 학자 · 관료로서 폭넓은 학식과 관직의 경험을 바탕으로 카지노 룰렛 룰 이 책을 정리하였다.

그 내용은 고려로부터 조선 성종대에 이르기까지 형성, 변화된 민간 풍속이나 문물 제도 · 카지노 룰렛 룰 · 역사 · 지리 · 학문 · 종교 · 문학 · 음악 · 서화 등 카지노 룰렛 룰 전반에 걸쳐 다루고 있어, 당시의 카지노 룰렛 룰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각 권은 편차(編差) 없이 서술되어 있으며, 권별의 구분도 내용과는 무관하다.

이 책은 제일 먼저 우리 나라의 유학에 관카지노 룰렛 룰 논카지노 룰렛 룰,정몽주(鄭夢周) · 권근(權近) · 윤상(尹祥)경학(經學)의 대가들이나최치원(崔致遠) · 정지상(鄭知常)등 신라와 고려의 명현(名賢)과서거정(徐居正) · 성임(成任)등 조선 초기의 문인들의 학문적 특성과 문장가로서의 성격을 풀이하고 있다.

한편, 필법(筆法)에 대카지노 룰렛 룰도 언급카지노 룰렛 룰김생(金生) · 이암(李嵒)· 이용(李瑢) ·강희안(姜希顔)등의 특징을 이야기하며, 고려의 공민왕으로부터 조선안견(安堅)의 산수화에 이르기까지, 또최경(崔涇)의 인물화에 대카지노 룰렛 룰도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음악에 대해서는 신라의 현금(玄琴)이나 금관국(金官國)의 가야금 및송태평(宋太平)· 도선길(都善吉) 같은 악공에 대카지노 룰렛 룰, 그 밖에 기생 상림춘(上林春)의 기교에 대카지노 룰렛 룰도 서술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각 도읍의 형세와 백운동(白雲洞) · 청학동(靑鶴洞) 등 한양 명승지와 그 밖에 성밖의 명승지를 언급하고 있다.

풍속에 있어서는 잔치 음식의 가짓수와 맛의 특징 등을, 그 밖에 혼례 풍습 · 나례(儺禮) ·처용무(處容舞)· 관화(觀火) 등의 절차를 설명하고 있어 귀중한 민속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중국 사신의 접대에 따르는 의식 절차, 사신들에 대한 인물평, 과거제도에 대한 것과 성균관의 제도, 제사 풍습, 불교와 승려에 대한 이야기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이야기의 대상으로 삼은 인물 설정에 있어서는 왕세가(王世家)와 양반 관료는 물론이고, 유학자 · 서화가 · 음악인 · 문인 또는 당시 사회에서 천대받던 과부나 중 · 복서(卜筮) · 기생, 심지어 탕녀(蕩女)들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유명인들의 일화나 해학담(諧謔譚), 일반 대중이나 천인들의 소화(笑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화를 담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특히 민속학이나 구비문학 연구의 자료로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참고문헌

『카지노 룰렛 룰의 명저』(현암사, 1969)
「용재총화해제」(김두종, 『국역 대동야승』 1, 민족카지노 룰렛 룰추진회, 1971)
「용재총화해설」(성락훈, 『오늘의 사상대전집』 8, 동화출판공사,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룰렛 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카지노 룰렛 룰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룰렛 룰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 룰렛 룰]'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