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은 Allium fistulosum L.이다. 파는 숙근성(宿根性) 다년생 초본식물이지만 1, 2년생 작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높이는 60㎝에 달하고 인경(鱗莖)은 그리 굵어지지 않고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지상 15㎝ 정도 되는 곳에서 5, 6개의 잎이 자란다. 잎은 관상(管狀)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엽초(葉鞘:잎깍지)로 되어 서로 감싸고 녹색 바탕에 약간 흰빛이 돌며 점성이 있다.
꽃은 6, 7월에 피는데 원주형의 화경 끝에 둥근 산형화서를 이룬다. 열매는 삭과(蒴果: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이고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원산지는 중국의 서부라고 하나 아직 원종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내한성 · 내서성이 강하여 북은 시베리아로부터 남은 열대지방까지 분포되고, 중국에서는 3,000년 전부터 재배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파는 오랜 재배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생산추세도 안정되어 있다. 생산량도 각 도에 고루 분포되어 있어 가장 많이 생산하는 전라남도도 전체의 25%에 불과하다. 1989년에는 2만1743㏊에서 54만8762t이 생산되었다.
재배기술은 엽초부를 연백(軟白)하여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는 줄기파재배와 잎을 꽁 머니 카지노 3 만하는 잎파재배가 있다. 줄기파재배는 4, 5월에 파종하는 춘파재배와 8, 9월에 파종하는 추파재배가 있다. 노지묘상에 10a당 0.6∼0.8ℓ의 종자를 파종하여 육묘하고, 이랑 너비 70∼90㎝, 깊이 15㎝의 골을 파고 7, 8㎝ 간격으로 2, 3그루씩 정식한다. 거름은 2,000∼3,000㎏의 두엄과 질소 20∼25㎏, 인산 20㎏, 칼리 20∼30㎏을 기준으로 하여 주고 북주기를 3회 정도 실시한다.
품종은 줄기파로서 다수성인 석창1본대파 · 가가1본대파가 있고, 수량은 좀 떨어지지만 맛이 좋은 사촌1본대파 · 천주흑 등이 있다. 분열성이 큰 잎파에는 서울지방의 재래종으로 잎이 농녹색인 서울백파, 비교적 저온생장성이 강하여 주년재배(周年栽培)에 적합한 구조파가 있다.
파는 주로 각종 음식의양념으로 쓰이는데, 특히 고기와 생선의 좋지 못한 냄새를 없애주는 구실을 한다. 녹색 부분에는 비타민A · C가 많고 철분 등의 무기질도 많다. 마늘과 같이 비타민 B1을 활성화하는 알린도 함유하고 있다. 파를 꽁 머니 카지노 3 만한 음식으로는 파김치 · 파강회 등이 있고, 술안주나 반찬으로 꽁 머니 카지노 3 만되는 파산적은 파와 쇠고기, 기타 채소를 꼬챙이에 꿰어 만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