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석탑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조성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보물, 1970년 지정)에서 그 기원을 찾고 있는데, 고려시대에 많이 유행하였다. 청석탑은 규모가 작은 대신에 9층 ·12층 ·16층 등 다층(多層)으로 만들었다. 더욱 가공이 쉽고 표면이 아름다웠다. 그래서 청석탑은 대웅전보다는 부속 전당이나 말사의 작은 암자 앞에 세워져 주변경관과 조화를 잘 이룰 수 있었다. 또한 기단부가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이 있는데, 이는 커다란 석재를 확보하기 어렵거나, 탑이 옮겨지고 훼손되면서 보충된 석재로 볼 수 있다.
청석탑이 조성된 사례로는 충북 충주 창룡사, 보은 법주사의 여적암, 1985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원주 보문사, 1979년 경상북도 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 지정된 경북 고령 반룡사, 예천 용문사, 의성 대곡사, 김제 금산사, 1988년 대구광역시 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 지정된 대구 동화사의 염불암, 1972년 경상남도 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 지정된 영산 법화암, 1982년 경상남도 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 지정된 진주 두방암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문집에 전하는 사례로서 풍세현(豐歲縣: 천안)의 개천사(開天寺), 고창현(高敞縣)의 상원사(上院寺), 금강산의 유점사(楡岾寺)와 신림암(神琳菴) 등이 있다.
청석탑은 색상은 물론 표면을 세밀하고 아름답게 가공할 수 있는 좋은 소재였다. 이는 고려시대 귀족들이 세밀하고 섬세한 취향에도 일부 부합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고려시대에 청석탑의 조성이 유행하는 것은 청석이 지닌 특성과도 일정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