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공호는 평안남도 평양 출생으로 알려져 있으며, 3·1운동 이후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임시의정원의 중국 지역 대표 의원으로 활동하는 한편, 재무부 재금수합위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상하이에서 병사하였다.
황공호(黃公浩)는 평안남도 평양(지금의 평양특별시)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1년105인사건이 벌어졌을 때신민회회원 옥관빈(玉觀彬)과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한 뒤 독립운동을 모색하는 한편, 국내 인사들과 연결되어 배일사상을 고취하는 선전물을 국내에 발송하면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19년3 · 1운동이 발발하자 상하이로 건너가대한민국임시정부에 합류하여 임시의정원의 중국 지역 대표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의정원의 세칙 개정과 위원 선출, 임시정부가 제출한 국채통칙(國債通則) 및 국채발행조례(國債發行條例) 등을 결의하며 활발하게 의정원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임시정부 재무부 소속의 재금수합위원(財金收合委員)으로도 활동하였다. 1919년 9월 11일 병을 얻어 상하이에서 사망하였다.
1996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