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창은 태종무열왕의 6세손 김주원(金周元)의 아들로서, 아버지가 김경신(金敬信: 원성왕)에게 선덕왕의 후사 자리를 빼앗긴 데 대한 불만을 품고 822년(헌덕왕 14) 3월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웅천주도독(熊川州都督)이었던 김헌창은 무진(武珍: 지금의 光州)·완산(完山: 지금의 전주)·청주(菁州: 지금의 진주)·사벌(沙伐: 지금의 상주)의 4주 도독과 국원경(國原京: 지금의 충주)·서원경(西原京: 지금의 청주)·금관경(金官京: 지금의 김해)의 사신(仕臣)과 제군현(諸郡縣)의 수령을 협박하여 자신의 소속으로 만들고 나라를 세워 국호를 장안, 연호를 경운이라 하였다.
그러나 김헌창의 반란이 관군에 의하여 진압되자 국호와 연호는 자연히 소멸되었다. → 김헌창의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