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본존불 3m, 좌협시 2.35m, 우협시 2.3m. 1985년 경상북도 유형카지노 꽁돈재(현, 유형카지노 꽁돈유산)로 지정되었다. 백률사(栢栗寺) 위쪽의 금강산(金剛山) 정상 부근에 있는 높이 3.4m, 너비 4.9m 크기의 동북향의 암면에 새겨져 있다.
손상된 부분이 많고 선각(線刻 : 선카지노 꽁돈 새김)도 얕아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어렵다. 삼존은 얼굴 부분만 얕게 부조(浮彫 : 돋을새김)하고 나머지는 모두 선각하였다. 거대한 본존에 비해 협시는 옹졸하게 배치되어 불합리한 구도를 나타낸다.
본존은 방형(方形 : 네모반듯한 모양)의 신체 구조에 살이 쪄서 비만한 모습이다. 방형의 얼굴은 한 줄 선카지노 꽁돈 새긴 두 눈의 눈초리가 위로 치켜 올라가 침잠한 표정을 지었다.
머리는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의 윤곽이 불분명하다. 그리고 윤곽이 불분명한 두 귀도 지나치게 커서 마치 모자를 쓴 듯 불합리하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의(通肩衣 : 어깨에 걸쳐진 옷)이다. 왼쪽 어깨에서 내려오는 옷자락은 가사 끈카지노 꽁돈 묶어 드리웠으며 가슴 사이로 비스듬히 새겨진 내의의 윤곽이 보인다.
우람한 양 무릎 위로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 자락이 유려하게 흘러내졌다. 하지만 양팔은 마멸이 심해 수인(手印)이 불분명하다. 그러나 좌우의 협시 보살상은 보관 정면에 각각 화불(化佛)과 정병(淨甁)이 표현되어 있어 이 삼존불은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로 확인된다.
본존 여래좌상의 오른쪽 협시 보살상은 얼굴과 몸 전체를 본존 쪽카지노 꽁돈 돌리고 꿇어않아 마치 본존을 향해 공양하는 자세로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발꿈치 쪽카지노 꽁돈 내리고 왼손은 가슴 위로 들었지만 지물(持物)은 확인할 수 없다.
오른쪽 겨드랑이에서 왼쪽 어깨 쪽카지노 꽁돈 비스듬히 걸쳐진 천의(天衣 :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 자락이 표현되었고, 복부에도 나부끼는 옷자락이 보인다.
무릎 아래로 단판의 연꽃무늬가 보이나 대부분이 묻혀 있다. 보관은 화려한 꽃무늬가 장식된 화관(花冠)카지노 꽁돈 중앙의 솟을장식[立飾]에 보병(寶甁)이 새겨져 있다. 관 띠 밑카지노 꽁돈 머릿결의 윤곽이 뚜렷하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는 이중의 원형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이다.
본존의 왼쪽 협시 보살상은 얼굴과 신체 윤곽선카지노 꽁돈 보아 몸을 본존 쪽카지노 꽁돈 돌린 모습이지만 보관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멸되어 세부 특징을 확인할 수 없다. 보관 중앙에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으며 광배는 원판을 포갠 듯한 이중의 원형 두광이다.
이 처럼 본존을 향해서 서로 다른 자세의 협시가 배치되는 율동적인 구도의 마애불은 남산 삼릉계(三陵溪)의 선각삼존불에서 비롯된 것이다.
완전히 선조화된 조각 기법과 대형화된 신체에 비해 느슨하고 섬약한 선 그리고 침잠한 얼굴 표정 등에서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카지노 꽁돈 추정된다. 삼존이 새겨진 암벽 위 좌우에 목조 가구용의 방형 구멍이 남아 있고, 유적 주변에는 기와편이 흩어져 있다.
이 유적은 금강산 입구에 위치한 굴불사지(掘佛寺址) 발굴 조사에서 수습된 ‘東寺’라는 명문을 근거로 ‘동암(東庵) 마애불’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앞카지노 꽁돈 더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