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전라남도 기념물 101호로 지정되었다.노령산맥의 한 줄기가 동악산(動樂山) 줄기를 이루고, 이 동악산의 줄기 아래에 성출봉(聖出峰)이 있는데 이곳 중턱에 자리잡은 도림사의 앞 계곡을 말한다. 도림사에는 국보와 보물은 없으나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과 계곡이 유명하며 계곡이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 흔히 ‘도림사 골짝’으로 불린다.
도림사 계곡의 수계는 월봉천 유역이며곡성군곡성읍 월봉리 경계와 대체로 일치하고 하류에서는 구원리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분수계는 북쪽의 동악산(735m)과 남쪽의 형제봉을 잇는 능선에 형성되어 있고 월봉천은 서에서 동으로 흐르다가 곡성천과 합류한다. 곡성천은 곡성읍과 오곡면의 경계를 이루면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섬진강과 합류한다. 계곡 하류부에는 도림사 관광단지와 오토 캠핌장이 조성되어 있다.
절의 입구에서 송림숲 지대를 따라 약 1.5㎞쯤 올라가면 도림계곡 · 동악계곡 · 성출계곡 등이 있는데 여기에는 국내에서 유일한 열 서넛 구비의 반석 계곡이 나타난다. 맨 위 제1 반석에서 시작하여 제9 반석까지 이름이 붙여져 있고 그 길이가 1㎞에 이른다. 널찍하고 펀펀한 반석 위를 맑은 물줄기가 마치 비단을 펼쳐 놓은 듯이 흐르고 있어 일찍부터 ‘수석의 경이 삼남에서 으뜸’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반석이 큰 것은 폭이 20m에서 30m쯤이고 길이가 100m에 이른다. 이러한 널찍한 반석은 맑은 물줄기가 천년 세월을 두고 흐르면서 바닥을 반질반질하게 만든 것이다. 굽이굽이 펼쳐진 반석 위에 쉴 새 없이 흐르는 맑은 물과 그 아래의 소(沼)는 관광객으로 하여금 신비한 운치를 맛볼 수 있게 한다.
특히, 신선바위는 높이 4m에 넓이가 30평에 달하고 이 곳에서 바라보는 조망이 좋아 신선이 지낼 만한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름에는 피서객과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또한, 수목이 울창하고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예로부터 시인과 묵객들이 지나간 흔적을 반석과 바위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절의 이름처럼 도인(道人)이 숲을 이루듯 몰려들었는지는 모르나도선국사· 사명당 · 서산대사 등의 고승들이 한동안 머물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