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전법(科田法)에 규정된 창고궁사전(倉庫宮司田)의 소임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본래 과전법상에서도 왕자들에게는 과전 · 별사전(別賜田) 등이 지급되었다. 따라서 국왕들은 본궁(本宮: 잠저)에 사적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1423년(세종 5)에 이러한 본궁의 사재(私財)를 관리하는카지노 입플B0B4;카지노가 설치되었으며, 1466년(세조 12)에업 카지노로 개칭되었다. 본궁의 토지는 국가의 비호 아래 점차 확대되었다. 1445년 국용전(國用田) 제도가 실시되어 경중각사(京中各司)의 위전(位田)이 흡수될 때에도 본궁 소속의 토지는 전혀 개혁이 되지 않았다.
업 카지노에서 관할하는 토지는 본래 본궁에 속한 토지 이외에도 업 카지노의공해전(公廨田)이 있었다. 1449년에 가속군자전(假屬軍資田)에서 2,000결을 떼어 업 카지노소에서 세금을 걷도록 했던 경우나, 1472년(성종 3)에도 군자전을 떼어서 공해전 3,000결을 마련한 경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토지 제도는 설치 · 혁파를 거듭한 듯하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업 카지노은 보다 발전하였고, 특히 무주진전(無主陳田) · 무주공한지(無主空閑地)의 점탈(占奪) 및 민전 침탈이 행해지면서 크게 확대되었다.
출세결과 면세결을 모두 망라한 업 카지노의 규모를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18~19세기에 4천 결 내외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업 카지노에 속한 출세지와 면세지의 규모의 변동을 살펴보면, 우선 출세지의 경우 규모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동되었는지 알기 어려우나 18세기 후반의 출세지 규모는 2천 5백여 결이었다. 한편 면세지에 대해서는 시기별 변동 양상을 알 수 있다. 1778년에 1,391결, 1787년에 1,725결, 1807년에 3,797결, 1814년과 1824년에 3,796결, 1854년에 3,989결, 1874년에 3,296결, 1880년에 3,842결, 1884년에 2,680결, 1895년에 4,152결이었다. 18세기에 비해 19세기에 들어 결 수가 2천 결 이상 대폭 증대되었다.
업 카지노의 운영은 강력한 왕실의 권력을 배경으로 집행되었다. 토지의 관리에는 내수사 노비인 궁차(宮差)가 파견되거나 도장(導掌) · 마름[舍音] 등이 배속되었다.
업 카지노 중의 면세지를 경작한 농민에게는 국역(國役) 또는 환곡 등을 면제시켜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작 농민이 조건을 이행하지 못하면 그들의 재물을 차압하거나 처벌하는 등 폐단이 심하였다. 따라서 국가의 제반 수취로부터 회피하기 위해 토지를 투탁(投託)하는 경우도 많았다.
업 카지노은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화하는 과정에서 역둔토(驛屯土) ·궁방전(宮房田)등과 함께 1908년에 국유화됨으로써 완전히 소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