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중앙 카지노 엘에이은 진흥왕 때에 국통(國統) 1인-도유나랑(都唯那娘) 1인-대도유나(大都唯那) 1인-대서성(大書省) 1인의 체계였다. 그 뒤 진덕여왕 때에 대도유나와 대서성의 정원을 각각 1인씩 늘렸다. 그리고 788년(원성왕 3) 소년서성(少年書省)에 2인의 정원을 두면서 정비되었다.
대도유나는 대통-도유나로 이어지는 중국 북제(北齊)의 카지노 엘에이체계를 받아들인 것이다. 신라 551년(진흥왕 12) 고구려에서 온 혜량법사(惠亮法師)를 국통으로 삼으면서 보량법사(寶良法師)를 이에 임명하였다.
785년(원성왕 1) 카지노 엘에이제를 정법전(政法典)-중앙카지노 엘에이-지방카지노 엘에이의 체계로 다시 정비했으나 대도유나는 중앙카지노 엘에이직으로서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9세기 후반에 이르러 각 사찰에서 자치적으로 삼강직(三綱職)을 설치하면서 대도유나란 승직을 베풀었다. 이에 종래 중앙 카지노 엘에이직의 이름이었던 대도유나를 대통으로 고치게 되었다.
본래 대통이란 북위(北魏) 소현사(昭玄寺)의 대통으로부터 비롯하며, 그 휘하에 ‘통(統)-도유나(都維那)’를 두었다. 그 후 북제(北齊) 천보(天寶) 연간에 전국에 10통(統)을 두었다가 법상법사(法上法師)를 대통으로 삼아, 도유나 3인과 공조(功曹)·주부(主簿) 등 관원을 거느리고 여러 주현의 사문의 법을 관장케 하였다. 이러한 카지노 엘에이체제는 수대(隨代)에까지 계승되었다.
신라에서는 하대 무렵부터 이 명칭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 첫 사례가 817년(헌덕왕 9) 8월 5일에 세운 이차돈(異次頓)의 비이다. 그 뒤로는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에 나타난 석 현량(玄亮)의 정법대통(正法大統)의 직함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에 ‘대통 승 담유, 정법화상 승 신해’·‘대통 겸 정법화상 대덕 보연’ 등의 용례가 보인다. 여기서 대통과 정법화상이 별개의 카지노 엘에이이었고, 또한 두 카지노 엘에이직은 서로 겸직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817년 이차돈의 비를 건립할 때 카지노 엘에이은 ‘국통-대통-대서성’의 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를 중앙 카지노 엘에이체계와 비교할 때에 대통은 대도유나의 다른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신라 하대에 이르러 대도유나란 이름으로는 각 사찰의 직임과 중앙 카지노 엘에이직과의 구분이 어려웠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 카지노 엘에이직인 대도유나의 명칭을 대통으로 바꾸었다.
대통이라는 명칭이 신라 하대에 이르러 나타나게 된 데에는, 이 시기에 이르러 각 사찰에서 삼강전이 출현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불교계가 점차 자치적인 운영체제로 바뀌어 가는 추세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통은 중앙 카지노 엘에이으로서 정법전의 화상을 겸직하거나, 정법전 화상의 상위직으로서 승정에 관여하였다.
정법전은 785년 카지노 엘에이들만으로 새로이 설치되어 불사(佛事)의 조영이나 국왕의 측근에서 사찰의 토지 및 불교계와 관련된 문제를 처리하는 관사였다. 그에 비해, 대통은 중앙 카지노 엘에이으로서 불교계의 행사에 국왕을 대리하거나, 국가 또는 왕실의 불사에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