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리거 몽김장군기 ()

고전산문
작품
1607년(선조 40), 장경세(張經世)가 지은 고전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1607
작가
장경세(張經世)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리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몽김장군기」는 1607년 장경세가 지은 몽유록계 고전소설이다. 몽유자의 꿈에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南原城)에서 전사한 김경로(金敬老) 장군이 등장카지노리거 공을 인정받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는 내용이다. 난후 충절을 선양함에 시비가 전도된 역사적 현실을 문제삼은 작품이다.

정의
1607년(선조 40), 장경세(張經世)가 지은 고전소설.
저자

카지노 꽁머니 지급C7A5;카지노 꽁머니의 본관은 흥성(興城), 자는 겸선(兼善), 호는 사촌(沙村)이다. 1585년(선조 18) 생원이 되고, 1589년(선조 22)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 교서관저작을 거쳐 1593년(선조 26) 공주제독관을 지냈으며 승문원박사·전라도도사 등을 역임했다.

장경세의 연보에 따르면, 작가는 남원성 함락 당시 순절한 친구김경로(金敬老, ?~1597)장군이 표창되지 못한 것을 통한해 하다가 1607년 8월 15일에 꿈을 통해 그 품은 바를 기술하였다고 한다. 이 작품은 작자의 문집인『사촌집(沙村集)』권3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만력(萬曆) 정미(丁未)년(1607) 가을, 한 야로(野老)가 산속 서재에 홀로 앉아 한유(韓愈)의 「장중승전후서(張中丞傳後敍)」를 읽었다. 장순(張巡)에 못지 않은 충렬지사 허원(許遠)이 역사책에 누락된 것을 탄식하다가 나비와 수마(睡魔)에 이끌려 잠이 들었다.

꿈에 야로는 체격이 우람하고 풍신이 우활한 한 장부를 만나는데, 그는 곧 김경로(金敬老) 장군이었다. 김 장군은 몽유자에게 자신의 억울한 사연을 길게 하소연한다.

자신의 유해를 수습해 줄 사람이 없고, 충절을 선양함에 있어 시비가 전도되었기에 깊은 한을 풀지 못한 지 오래인데, 오늘 밤 옛 벗을 만났고 겸카지노리거 의를 취한 날을 맞았기에 자신의 충곡을 펼치려 한다는 것이다.

승평 200년 강토가 전장으로 변하고 임금이 파천하는 때를 당카지노리거 김 장군은 신하된 몸으로서 임금을 위해 힘을 다하였다. 자신은 원래 무반으로임진왜란의 참혹한 정경을 보고는 호방(虎榜)에 올라 두 고을을 관장하게 되었다.

다행히권율(權慄)장군이행주대첩에서 승리를 거두고 명나라의 원병(援兵)이 이르자, 왜군은 쫓겨가고 임금이 귀경카지노리거 백성들이 모두 기뻐하였다. 그러나 왜가 정유년(丁酉年)(1597)에 다시 침입카지노리거 곧장 대방(帶方)을 공격하였다. 이러한 위기를 맞아 장군은 방어의 명을 받고 절도사이복남(李福男)과 함께 합심카지노리거 죽기를 맹세하고 남원성으로 들어갔다.

왜병이 포위카지노리거 공격하자 명나라 장수 양원은 달아나고, 자신은 적들의 칼날에 난자당해 죽었다. 이렇듯 위태로움에 임카지노리거 목숨을 바쳐 자신의 직분을 다했는데도 의지할 만한 세도가도, 가까운 친척도 없어 공신으로 표창되지 않았으니 심히 원통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소연한 다음 김 장군은 몽유자에게 자신의 처지를 글로 써서 알려 달라고 부탁하는데, 장군의 말이 채 마치기 전에 몽유자는 잠을 깬다. 이에 작가는 눈물을 삼키면서 이를 기록한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정유재란당시 남원성이 함락될 때 전사한 김경로 장군이 꿈에 나타나 자신의 내력과 순절하기까지의 과정을 전하면서 나라와 임금을 위한 충절의 마음을 구구절절이 토로하고, 자신의 충렬이 제대로 보상받지 못한 것을 원망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는윤계선(尹繼善)사설 카지노B2EC;사설 카지노CC9C;사설에서 여러 인물이 차례로 자신의 내력을 말하고 시를 지어 한탄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그중 어느 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카지노리거 확대한 듯한 인상을 준다. 다만 「달천몽유록」에서는 등장인물의 내면을 토로하는 방편이었던 시가 이 작품에서는 빠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이처럼 이 작품은카지노리거의 전형적인 서술구조에서 다소 이탈하고는 있지만, 그 주제 의식이나 창작 동기에 있어서 카지노리거의 전반적인 특질에 부합한다. 17세기 카지노리거이 임진왜란과병자호란에 대응하는사대부들의 이념 토로의 장이 되었던 양상을 이 작품도 고스란히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17세기 카지노리거의 사조와 같은 경향을 보이면서, 당대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해 유교적 이념을 관철시켜 사태를 수습하고자 했던 사대부들의 의식이 반영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장경세, 『사촌집(沙村集)』(서울대학교 규장각카지노리거학연구원 소장)

단행본

신재홍, 『카지노리거몽유소설연구』(계명문화사, 1994)

논문

김정녀, 「카지노리거의 현실대응 양상과 그 의미」(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신재홍, 「몽기류작품의 검토」(『선청어문』 18,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리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카지노리거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리거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리거]'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