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로얄 음소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언어단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카지노 로얄는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언어단위이다. 카지노 로얄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시간적 연장을 가지고 실현되는 소리들로, 소리의 길이나 높낮이·강약 등과 같이 카지노 로얄에 얹히는 운율적 요소들을 가리키는 운소와 함께 음운에 속한다. 카지노 로얄는 한 언어에서 의미를 변별시키는 구실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음성적으로 다른 설측음 [l]과 탄설음 [r]은 한국어에서는 의미변별력이 없어 하나의 카지노 로얄 ‘ㄹ’을 이루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의미변별력이 있어 두 카지노 로얄를 이룬다. 현대 국어의 자음카지노 로얄는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모음카지노 로얄는 혀의 전후 위치와 높이에 따라 변별된다.

목차
정의
말의 뜻을 구별하여 주는 최소의 언어단위.
내용

넓은 의미카지노 로얄의를 때로는음운(音韻)과 동일시하기도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카지노 로얄는 운소(韻素, prosodeme)와 함께 음운에 속하는 것이다.

곧, 카지노 로얄는자음이나모음과 같이 시간적 연장을 가지고 실현되는 소리들로서, 소리의 길이나 높낮이 · 강약 등과 같이 카지노 로얄에 얹히는 운율적 요소들을 가리키는 운소와 함께 음운에 속한다. 여기에서 자음과 모음의 카지노 로얄를 분절음운(segmental phoneme), 운율적 요소인 운소를 비분절음운(suprasegmental phoneme)이라 부르기도 한다.

카지노 로얄는 한 언어에서 의미를 분화시키는, 즉 의미를 변별시키는 구실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가령, 한국어의 카지노 로얄 ‘ㄹ’은 음절말(音節末)에서는설측음(舌側音)[l]로 실현되지만(불[pul], 날다[nalda] ), 모음 사이카지노 로얄탄설음(彈舌音)[r]로 실현된다(나라[nara]). 곧, 카지노 로얄 두 음성[l]과[r]가 같은 자리에 사용되어 의미변별을 일으키는 일이 결코 없다.

그러나 영어카지노 로얄[l]과[r]가 ‘light[lait]'와 ‘right[rait]'에서 보듯이 같은 자리인 어두(語頭)에 실현되면서 ‘가벼운'과 ‘옳은'과 같이 그 뜻을 변별시키고 있다.

즉, 음성적으로 다른[l]과[r]는 한국어에서는 의미변별력이 없어 하나의 카지노 로얄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의미변별력이 있어 두 카지노 로얄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와는 역의 현상도 가능한데, 가령 한국어에서는 ‘불[pul], 풀[phul], 뿔[p○ul]’에서 보듯이 ‘ㅂ, ㅍ, ㅃ’ 등이 의미를 변별시키고 있고, 그래서 각기 별도의 카지노 로얄로 인정되지만, 영어에서는 음성적으로 다른 이 세 소리가 단어의 의미변별을 하는 일이 결코 없으므로 별도의 카지노 로얄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카지노 로얄가 특정의 개별언어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말하여 준다. 곧, 한 언어에서는 카지노 로얄이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카지노 로얄가 아닌 소리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반대로 한 언어에서는 카지노 로얄가 아니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카지노 로얄인 소리가 있을 수 있고, 또한 한 언어에는 전혀 없는 소리가 다른 언어에는 있는 일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 언어 안의 방언들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카지노 로얄의 수는 특정의 개별언어(나아가 그 언어의 개별방언)에 따라 각각 달라지는데, 이러한 이유로 개별언어(혹은 방언)의 음운론 기술은 그 언어(혹은 방언)의 카지노 로얄목록을 찾아내는 것을 일차적인 과제로 삼고 있는 것이다.

(1) 외적 접근방법

한 언어의 카지노 로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대개 최소의 짝(minimal pair), 상보적 분포(相補的分布, complementary distribution) 및 음성적 유사성(phonetic similarity) 등에 의지하여 이루어진다.

최소의 짝이란 앞서의 예카지노 로얄 영어의 ‘light’와 ‘right’, 그리고 한국어의 ‘불, 풀’카지노 로얄와 같이 다른 나머지는 같은데 어떤 한 가지 음의 차이로 의미가 달라진 어형의 짝을 말한다.

이처럼 두 개의 단어가 같은 자리에 있는 하나의 음 때문에 의미의 차이를 가져올 경우, 이 두 음을 각기 별도의 카지노 로얄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곧, 한 언어의 카지노 로얄를 설정하는 가장 손쉽고 확실한 방법은 우선 최소의 짝을 찾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음에 따라서는 최소의 짝을 찾기 어렵거나 아주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흔히 상보적 분포에 의지한다. 상보적 분포란 두 음성이 동일한 환경카지노 로얄 실현되지 않을 때를 이르는 말인데, 예를 들어 앞카지노 로얄 살펴본 한국어의 두 음성[l]과[r]는 각기 다른 환경카지노 로얄만 실현되고, 결코 동일한 환경카지노 로얄 실현되는 일이 없으므로 이들은 상보적 분포를 가진다고 말한다.

이처럼 두 음성이 서로 상보적인 분포를 가질 경우, 이들을 한 카지노 로얄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때 이 두 음성을 그 카지노 로얄의 이음(異音, allophone)이라고 하며, 이음과 카지노 로얄를 표기상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이음을 각괄호[ ]안에 표기하는 한편, 카지노 로얄는 사선 / / 안에 표기한다.

그러나 두 개의 음성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경우에도 한 카지노 로얄로 묶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국어의 ‘ㅎ’은 음절 첫머리에만 나타나고 음가가 있는 ‘ㅇ’은 음절말에만 나타나는데, 이들 두 음성은 그 환경만을 따진다면 분명히 상보적 분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한 카지노 로얄로 묶기에는 너무나 현격한 음성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ㅎ’은 무성마찰성문음(無聲摩擦聲門音)인데, ‘ㅇ’은 유성비강연구개음(有聲鼻腔軟口蓋音)인 것이다.

이처럼 상보적 분포를 보이는 두 음이기는 하지만, 그 음성적 차이가 너무나 현격하여 한 음운으로 묶기 어려울 경우, 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음성적 유사성이라는 카지노 로얄발견의 또다른 방법을 동원하게 된다.

그러나 음성적 유사성이라는 것은 정도의 문제이므로 그 구분이 명확하게 그어지는 것은 아니다. 얼마나 비슷하여야 하나의 카지노 로얄로 묶일 수 있으며, 얼마나 달라야 하나의 카지노 로얄로 묶일 수 없는가는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없는 문제인 것이다.

(2) 내적 접근방법

이상에서 살펴본 카지노 로얄설정의 방법은 카지노 로얄를 외적으로 정의하려고 한 관점에 의한 것으로서, 이것과는 달리 카지노 로얄를 내재적 특성에 의하여 정의하려는 내적 접근방법이 있다.

이 내적 접근방법에서는 카지노 로얄를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변별적 자질(辨別的資質, distintive feature)의 묶음으로 정의하는데, 여기서 변별적 자질이란 한 언어형식을 다른 언어형식과 다만 그것에 의하여 구별하게 하는 음적 특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카지노 로얄 ‘불, 풀’의 의미가 구별되는 것은 ‘ㅂ’과 ‘ㅍ’이 다른 변별적 자질은 공통으로 가지고 있지만, 유기성(有氣性, aspiration)의 변별적 자질을 ‘ㅂ’은 가지지 않고 ‘ㅍ’은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앞에서 말한 외적 접근방법에 비하여 이 내적 접근방법이 우월하다는 것은 여러 가지로 인정된다. 첫째, 변별적 자질이란 결국 카지노 로얄라는 단위를 다시 분석한 것인 만큼 한 언어의 변별적 자질의 수는 카지노 로얄의 수보다 일반적으로 매우 적게 되므로 그만큼 음운론적인 작업이 용이하여지며, 아울러 음운론 기술의 일반성을 포착할 수 있게 한다.

가령, 카지노 로얄로만 표시하면 복잡하거나 여러 카지노 로얄를 나열하여야 할 음운현상도 변별적 자질로 표시하면 단순한 하나의 규칙으로 총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둘째, 음성적 유사성이라는 다소 주관적인 개념을 공통적인 변별적 자질을 가진 음들이라는 말을 씀으로써 외적 접근방법이 가지는 근본적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가령, 비교되는 카지노 로얄들의 유사성의 정도는 공통된 변별적 자질의 수와 대립된 변별적 자질의 수가 몇 가지냐에 비례하여 설명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궁극적 실체에 대한 인식은 음운론적 대립의 성격과 음운체계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카지노 로얄는 서로 대립되고 변별적임으로써 비로소 그 존재가 성립되는 단위들이다.

그러므로 카지노 로얄는 개별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늘 다른 카지노 로얄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한 체계를 이룬다. 국어의 카지노 로얄체계를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음체계 : 현대국어의 자음카지노 로얄는 입술소리(양순음) · 치조음(윗잇몸소리) · 센입천장소리(경구개음) · 여린입천장소리(연구개음) · 목청소리(후음) 등의 명칭에서 보듯이 조음위치에 따른 대립을 보이며, 다른 한편으로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비음 · 유음 등에서 보듯이 조음방식에 따른 대립을 보인다.

또한, 카지노 로얄 파열음 및 파찰음은 예사소리(평음) · 된소리(경음) · 거센소리(유기음)로 변별되는 매우 질서정연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

즉, 평음의 ‘ㄱ, ㄷ, ㅂ, ㅈ’, 경음의 ‘ㄲ, ㄸ, ㅃ, ㅉ’, 유기음의 ‘ㅋ, ㅌ, ㅍ, ㅊ’ 등과 같이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카지노 로얄 자음체계는 〈표 1〉과 같이 정리된다.

조음방법\조음위치 양순음 설단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무성음 파열음 평음
경음
유기음
파찰음 평음
경음
유기음
파열음 평음
경음
유성음 비음
유음
〈표 1〉 카지노 로얄 자음체계

② 모음체계 : 모음체계를 말할 때에는 전설모음 · 중설모음 · 후설모음 등과 같은 혀의 전후 위치의 대립을 계열(series), 고모음 · 중모음 · 저모음과 같은 혀의 높이의 대립을 단계 또는 서열(class)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카지노 로얄 모음체계는 자음체계와는 달리 각 방언마다 큰 차이를 보여준다. 가령, 중부방언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표 2〉와 같은 4계열 3단계의 체계를 가지는 것으로 기술된다.

전설 후설
혀의 높이\입술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이/i/ 위/y/ 으/ɨ/ 우/u/
중모음 에/e/ 외/ø/ 어/ə/ 오/o/
저모음 애/ɛ/ 아/a/
〈표 2〉 카지노 로얄 모음체계

그러나 〈표 2〉에서 중부방언의 젊은 층은 이미 단모음 /위/와 /외/를 각기 이중모음으로 발음하고 있고, 또한 /에/와 /애/의 구별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동남방언(경상도방언) 등카지노 로얄 /으/와 /어/의 대립을 상실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렇다면, 전반적으로 현대국어의 모음체계는 다소의 음운목록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대개 3계열 3단계의 체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국어에는 이상의 단모음카지노 로얄 이외에 반모음카지노 로얄 /w/와 /j/가 더 있으며, 이들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이중모음이 여러 개 있다.

참고문헌

『카지노 로얄학개설』(이희승, 민중서관, 1950)
『카지노 로얄학논고(國語學論攷)』(이숭녕, 동양출판사, 1955)
『카지노 로얄학개설』(어문연구회 편, 수도출판사, 1967)
『카지노 로얄음운체계(國語音韻體系)의 연구』(김완진, 일조각, 1971)
『현대한카지노 로얄 생성음운론』(이병근, 일지사, 1976)
『생성음운론(生成音韻論)』(전상범, 탑출판사, 1977)
『한카지노 로얄음운론(韓國語音韻論)』(정연찬, 개문사, 1980)
『카지노 로얄음운론연구』(박종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3)
『카지노 로얄음운론(國語音韻論)』(이기문·김진우·이상억, 학연사, 1984)
『언어』(김진우, 탑출판사, 1985)
『표준카지노 로얄문법론』(남기심·고영근, 탑출판사, 1985)
『고등카지노 로얄문법』(임홍빈, 교학사, 1986)
『카지노 로얄학개설』(이익섭, 학연사, 1986)
Phonology(Larry M. Hyma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5)
『음운론(音韻論)』(이덕호 역, 범한서적, 1977)
Grundzüge der Phonologie,Göttingen(N. S. Trubetzkoy, Bandenhoeck and Ruprech, 1967, 4판)
집필자
한동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