탠 카지노 주먹도끼

선사문화
개념
구석기시대 자갈돌 또는 납작한 모난돌, 드물게는 대형 격지를 밑감으로 하여 양 면에서 격지를 떼어 만든 큰 석기.
이칭
이칭
양면핵석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탠 카지노는 구석기시대 자갈돌 또는 납작한 모난돌, 드물게는 대형 격지를 밑감으로 하여 양 면에서 격지를 떼어 만든 큰 석기이다. 양면핵석기라고도 불린다. 전체적인 형태를 보면 대개 길쭉하고 끝은 뾰족하다. 손에 잡히는 부위인 밑은 둥글고 자연면으로 덮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유럽 · 아프리카 지역의 탠 카지노들은 가장자리를 따라 날카로운 날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동아시아 지역의 탠 카지노는 밑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날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동아시아 지역에 맞는 독자적인 탠 카지노 분류 방안이 필요하다.

정의
구석기시대 자갈돌 또는 납작한 모난돌, 드물게는 대형 격지를 밑감으로 하여 양 면에서 격지를 떼어 만든 큰 석기.
개설

일반적으로 ‘탠 카지노류’ 또는 LCT(Large cutting tools)라는 범주 안에는 양면이 가공된 탠 카지노(handaxe), 한 면만 가공된 주먹찌르개(pick), 가로날도끼(cleaver), 주먹칼(knife) 등 '자르는 데 쓰는 큰 석기들'이 모두 포함된다.

세계 학계에서는 대개 탠 카지노를 전기구탠 카지노를 대표하는 유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탠 카지노가 전기 구석기시대뿐만 아니라, 중기 구석기시대에도 꾸준히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탠 카지노가 발견된다는 점을 이유로 해당 유적이 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고 단정짓는 일은 삼가야 한다.

한편 탠 카지노가 양면이 가공된 석기라는 점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양면에서 격지를 떼서 만든 모든 석기를 탠 카지노라는 범주 속에 넣는 것도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유럽과 아프리카에서도 지역에 따라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유적인 데도 불구하고, 양면이 가공된 큰 긁개 또는 삼각형의 작은 탠 카지노가 출토되는 일이 가끔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먹찌르개처럼 한 면만 가공된 석기도 탠 카지노 범주 안에 포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비슷한 형태의 석기라 하더라도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맥락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탠 카지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석기시대 구분 및 한계

20세기 초에 일찍이 프랑스의 앙리 브뤠이(Henri Breuil)는 유럽의 전기 구탠 카지노에 두 가지 계통의 문화, 즉몸돌탠 카지노전통탠 카지노와격지탠 카지노전통문화가 공존했다고 주장하면서, 전자를 아슐리안(Acheulian)이라고 하고 후자를 클락토니안(Clactonian)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브뤠이의 이원적 석기 문화론은 그 후 구탠 카지노를 연구하는 다른 학자들에게 크게 영향을 끼쳤는데, 미국의 할람 모비우스(Hallam L. Movius)와 중국의 자란포[賈蘭坡]가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1940년대에 모비우스는 아프리카 · 유럽 · 중근동 · 인도 · 자바 등의 지역에서는 탠 카지노 문화가 있었고, 동남아시아와 중국 · 한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찍개로 대표되는 자갈돌석기 문화가 있었다는, 이른바 ‘모비우스 가설’을 제출하여 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렇지만 당시 동아시아 현지의 많은 고고학자들은 이와 같은 ‘모비우스 가설’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전곡리, 금굴, 병산리, 가월리 · 주월리, 거두리 유적 등 거의 한반도 전역에서 탠 카지노가 연달아 발견되고, 또 중국에서도 띵춘[丁村], 란티엔[藍田] 바이서[百色], 공왕링[公王嶺], 윤시안[鄖縣], 지공산[鷄公山] 유적 등지에서 탠 카지노가 발견됨에 따라, ‘동아시아 탠 카지노 부재론’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주먹도끼의 의의와 연구 과제

현재 세계 구석기 학계에서 동아시아 지역에 탠 카지노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학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다만 유럽 · 아프리카 지역에서 말하는 탠 카지노와 동아시아의 탠 카지노에 차이점이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첫째, 앞서 언급했듯이 유럽 · 아프리카에서 탠 카지노는 전기 구석기시대 표식유물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탠 카지노가 그와 같은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전자에서는 석기 전면을 떼어 탠 카지노를 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 후자에서는 뾰족한 끝부분과 양 옆의 가장자리에만 부분적으로 날을 세우고, 손에 쥐는 부위인 밑 부분은 자연면인 상태로 그냥 놔두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다르다.

셋째, 전자에서는 부드러운 나무, 뿔, 뼈 같은 연질 망치를 가지고 탠 카지노를 제작하지만, 후자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돌망치를 가지고 큰 떼기만 해서 날을 세우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대부분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탠 카지노들에서는 날을 가지런히 곧게 펴는 마무리 단계, 즉 잔손질 단계가 보통 생략된다.

이상과 같은 동 · 서양 탠 카지노에서 관찰되는 차이점을 볼 때,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는 그 연원이 상당히 깊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차이를 확대 해석해서 인종 간의 차이로 환원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기술의 차이와 지적 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수와 보르드(François Bordes)는 계량적인 방법을 통해 탠 카지노의 여러 가지 유형들을 좀 더 객관적으로 분류하는 방법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그 후 데릭 로우(Derek Roe), 맥신 클레인딘스트(Maxine Kleindienst)를 비롯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각 지역의 상황에 맞는 탠 카지노 분류 방식을을 학계에 제출하였다.

그러나 서양 학계에서 그동안 제출된 탠 카지노 분류 방식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출토된 탠 카지노를 분류하는 데는 그리 적합하지 않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 맞는 독자적인 탠 카지노 분류 방안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연구자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지만, 동아시아의 다양한 형태의 탠 카지노들을 객관적으로 분류할 수 방법론은 아직 학계에 제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탠 카지노들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좀 더 타당한 객관적인 분류 체계가 절실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앙드레 데베나스 · 해롤드 L. 디블, 『구탠 카지노 형식분류』(이선복 옮김, 사회평론, 2012)
M. L. Inizan et al,Technology and Terminology of Knapped Stone(Antibes: CREP, 199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탠 카지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탠 카지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