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 카지노 걸립패 ()

국악
단체
기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직한 전문 연희패.
이칭
이칭
걸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업 카지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기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직한 전문 연희패.
개설

기금을 걷는 행위 자체는 걸궁이라 한다. 주로 풍물굿으로 지신밟기와 판굿, 고사소리, 춤 등을 연행한다. 업 카지노패가 마을에 도착하면 업 카지노패의 대표인 화주가 마을 대표와 상의하여 굿을 벌릴 수 있도록 허락받는다. 허락이 떨어지면 비로소 업 카지노패가 마을로 들어가 지신밟기 형태의 업 카지노을 하고, 밤이 되면 판굿을 벌여 각종 기예를 펼친다.

업 카지노패는 우두머리 화주 아래로 고사꾼인 비나리, 비나리와 부부인 보살(1-2명)의 춤과 노래, 풍물잽이(10명), 접시돌리기 전문가인 버나산이와 줄타기전문가 어름산이(2-3명), 그 밖의 곡물을 지니고 다니는 탁발 등 대략 15명 정도로 조직되며 때에 따라서는 화주와 풍물잽이와 고사꾼 정도로 단촐하게 구성하기도 한다.

설립목적

업 카지노패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운영된다. 절의 건립을 위해 조직하는 경우를 절 업 카지노, 다리나 나루, 서당 건설 등을 위해 인근 몇 개 마을이 모여 조직하는 경우를 다리 업 카지노, 나루 업 카지노, 서당 업 카지노이라 부르며 이러한 마을 간의 업 카지노을 총칭하여 촌업 카지노이라 부르기도 한다. 무당들의 집단인 신청에서 행하는 업 카지노은 신청업 카지노이라 하며, 업 카지노패가 서낭기를 들고 다니면서 스스로의 경제활동을 위해 업 카지노하는 경우를 낭업 카지노이라 한다.

연원 및 변천

업 카지노패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조선후기에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20세기 중반까지도 그 흔적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기능과 역할

절 업 카지노패의 경우 절에서 떼어 준 증명서의 일종인 신표를 주민들에게 제시하고 굿을 벌인다. 주민들은 절 업 카지노에 동조하여 자발적으로 돈이나 곡식, 술 등을 냄으로써 신앙 공동체의 대동성과 신심을 발휘하였다. 또 여러 마을이 함께 이용할 다리나 나루, 서당 등의 건설을 위해 조금씩 돈을 걷기도 하였으며, 그렇게 건설된 건축물들이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참고문헌

『업 카지노의 중요무형문화재2-평택농악』(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업 카지노근대음악사1』 (노동은, 한길사,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업 카지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업 카지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업 카지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