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산강씨세보초(晋山姜氏世譜草)』의 말미에 수록된 가첩이다. 『진산강씨세보초』는 정조 이전의 국계(國系)와 능소(陵所)·승하일(昇遐日)을 기록한 부분, 진산 강씨 중화재파의 세계(世系)를 정리한 부분, 강수택(姜修宅, 1771∼1836) 가족 14명의 생일을 적은 부분, 시조 28수를 기록한 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8.5×18.5㎝(세로×가로)의 크기에 총 14장으로 된 필사본이다. 중간에 두어 장은 도려낸 뒤 지질이 다른 백지로 보철(補綴)하였다. 표제는 “진산강씨세보초(晋山姜氏世譜草)”로 되어 있다. 강수택 가족의 생일을 기록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그가 필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조 28수를 기록한 부분은 크게 보아 강복중의 시조와 그에 화답한 시가로 구분된다. 강복중의 시조는 〈수월정청흥가〉 21수가 맨 앞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어서 각 1수씩인 〈방진산군수가(訪珍山郡守歌)〉 〈8월추풍사연평대감증선가(八月秋風謝延平大監贈扇歌)〉 〈경증월사대감가(敬贈月沙大監歌)〉 〈서용갑이배시가(徐龍甲移配時歌)〉가 차례로 적혀 있다. 화답한 시가는 서용갑의 답시(答詩) 1편과 이미(李瀰)의 〈근답강참봉영언(謹答姜參奉永言〉 3수가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작품은 모두 『청계가사』(또는 『청계망사공유사가사』)에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표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청계가사』를 보완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