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의 남천리에 있었던 절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고려시대부터 이곳에 사원이 존재했다고 전하며 남천사(南泉寺)를 방문했던 남유용(南有容)의 시를 통해서 18세기까지 명맥이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충주목사(忠州牧使)를 역임한 남유용이 조선조 영조대에 지은 시 중에는「동생들을 보내고 남천사에서 노닐다(送弟兒輩遊南泉寺)」가 있으며, 또 다른 시인 「공무 없이 소헐루에서 한가롭게 앉아있으면서(少歇樓燕坐無公事)」에는 "시승인 체소가 남천사에 주석하고 있다(詩僧體素居南泉寺)"는 내용이 있다. 두 편의 시를 통해 볼 때 남유용이 살았던 당시에까지 남천사가 존속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남천사지는 ‘남천삿골’, ‘절골동’, ‘남천사동’, ‘남천동’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폐사된 이후에는 탑만 남아서 ‘탑골동’, ‘탑동’으로도 불리었다. 사역(寺域)에는 몇 채의 민가가 인접해서 완만한 산기슭을 따라 평탄한 밭들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면을 동으로 한 지세로 앞쪽에는 3층 석탑이 남아 있다. 사역은 약 300평 정도로 근래 지어진 민가와 탑의 뒤편 5m 지점에 묘 1기(基)가 있다. 묘의 조성 당시 노출된 방형의 자연석 초석(礎石)이 묘의 옆에 남북으로 놓여있어 이곳이 건물지였음을 알 수 있다. 또 북쪽의 평탄한 밭에도 높이 1.5m 내외의 석축(石築)이 30m가량 남아 있고 계단의 흔적도 남아 있다. 밭의 상단에는 초석으로 보이는 방형의 자연석과 조선시대의 기와 조각들이 있어, 이곳에도 건물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 지역과 규모로 볼 때 금당지로 추정된다. 남천사지에 남겨진 1976년 충청남도 유형지니 카지노재(현, 유형지니 카지노유산)로 지정된 3층 석탑은 화강석으로 조성된 탑이며, 현재 높이는 306cm이고 2층의 기단과 3층 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작은 규모의 석탑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