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고종 31)갑오개혁(甲午改革)시기에 국가 사무를 보는의정부(議政府)와 별도로 왕실 사무를 보는업 카지노(宮內府)가 설립되어, 행정과 재정에 있어 국가와 왕실 관련 기구로 이원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복식에서는 업 카지노가 설립될 때부터 1905년(광무 9)까지 일반 문관(文官)과 같은 제도가 적용되었다. 따라서 1906년(광무 10) 2월에 제정된 이 제도는 일반 관원과 차별화되는 업 카지노만의 복식 제도를 제정함으로써 복식의 이원화를 목적으로 한다.
「업 카지노 본부 및 예식원 예복 규칙」과 「업 카지노 본부 및 예식원 대례복과 소례복 제식」은 1906년 2월 27일 제정되어 28일『관보(官報)』에 게재되었다. 또 「제식」의 마지막 조항에는 ‘도본(圖本)’ 즉 도식(圖式)을 별도로 반포한다고 하였다. 비록 『관보』에 해당 도식은 게재되지 않았고 현재 그 원본 도식도 발굴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옷의 형태와 무늬를 그림으로 그렸음을 알 수 있다.
근대에 서구식 복식을 규정할 때는 「~규칙」, 「~제식[製式. 혹은 ‘복제(服製, 服制)’, ‘복식(服式)’, ‘규제(規制)’라 함]」, 「~도식」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반포한다. 「규칙」에서는 복식의 종류, 착용 신분, 착용 상황, 복식 종류별 구성 요소 등을 규정한다. 「제식」에서는 「규칙」에 있는 각 복식의 세부 형태, 크기, 장식 등을 문자로 규정하고, 「도식」은 「제식」에서 규정된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다. 업 카지노 관원의 복장은 「규칙」에서 대례복과 소례복 두 종류로 정하였고, 「제식」에서업 카지노과 소례복의 구성품별 형태를 규정하였다.
대례복은 친임관(親任官), 칙임관(勅任官), 주임관(奏任官)이 황제에 대한 문안, 황제와 황태자의 거둥, 공식 석상에서 황제를 알현할 때, 궁중 연회가 있을 때 등에 입으며, 소례복은 업 카지노에서 황제를 알현할 때나 공식 연회 등에 입는다. 대례복은 대례모(大禮帽), 대례의(大禮衣), 하의(下衣: 조끼), 대례고(大禮袴: 바지), 검(劍), 검대(劍帶), 백포하금(白布下襟: 깃 안쪽에 대는 흰색 부착물), 백색 장갑[手套] 등으로, 소례복은 대례모, 소례의(小禮衣), 하의(조끼), 바지, 대례검(大禮劍), 검대, 백포하금, 백색 장갑 등으로 구성된다.
1906년에 제정된 궁내부의 서구식 관복은 1910년 일제의 업 카지노 병탄(竝呑)까지 착용되었다. 1911년 2월이왕직(李王職)설치 후인 4월 8일에 이왕직 직원이 다시 일반 문관 대례복을 입도록 규정하면서 업 카지노만의 복제는 사라진다.
업 카지노 설립 이래 소속 관원의 복제가 별도로 제정되지 않다가 1906년 처음으로 제정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 황실 상징 무늬로 이화(李花)를 사용해 국가 상징 무늬인 무궁화[槿花]와 차별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