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 카지노 간기 ()

목차
출판
개념
책의 간행지 · 간행자 · 간행연월 등 간행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부분을 가리키는 출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업 카지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책의 간행지 · 간행자 · 간행연월 등 간행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부분을 가리키는 출판용어.
내용

목판본이나 금속활자본 등의 전통 인쇄 방식에서 업 카지노기록은 책의 말미에 기록되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그림 또는 어떤 형으로 쓰여진 것도 있는데, 이를 목기(木記)·서패(書牌) 또는 묵위(墨圍)라고 한다. 이 중 목기는 다시 도기(圖記)와 패기(牌記)로 구분하기도 한다. 도기는 종(鐘)·정(鼎)·작(爵)·격(鬲) 등의 모양이 있고, 패기는 장방형이 많으며, 또한 아형(亞形)이나 타원형도 있고 변광(邊匡)이 없는 것도 있다.

이들 목기는 기록이 완전한 것도 있지만 다만 간지만으로 업 카지노연월을 밝힌 것도 있어, 서문·발문·판식(版式)과 활자의 종류 및 문헌기록 등을 참조하여 보충할 필요가 있다. 판권면(版權面)을 따로 두어 업 카지노기록을 표시한 예는 한말 개화기부터 나타나며, 일제강점기의 것은 오늘날과 대동소이하나 조선총독부의 것은 허가번호와 허가일자를 적은 점이 다르다.

업 카지노지는 보통 책이 업 카지노되던 당시의 지명으로 나타나 있고 업 카지노자는 업 카지노을 주관한 사람이나 단체로 표시되는데, 옛 간본에 있어서는 업 카지노자 다음에 침재(鋟梓)·상재(上梓)·각재(刻梓)·수재(繡梓)·조조(雕造)·개조(開雕)·개판(開板)·누판(鏤板)·침판(鋟板)·각판(刻板)·개간(開刊)·조간(彫刊)·중간(重刊)·신간(新刊)·재행(梓行)·인행(印行)·활인(活印) 등 업 카지노을 나타내는 용어가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다.

업 카지노년의 표시도 그 연대 표시가 연호에 의한 것, 즉위기년에 의한 것, 간지기년에 의한 것, 간지의 고갑자에 의한 것, 간지와 특수기년에 의한 것, 갑자기년(甲子紀年)에 의한 것, 건국기년(建國紀年)에 의한 것, 둘 이상의 업 카지노년이 있는 것, 서문과 발문에 나타나는 것 등 다양하기 때문에 업 카지노년을 고증하는 데 유의해야 한다.

참고문헌

『고서분류목록법』 下(천혜봉, 업 카지노도서관협회, 1970)
『업 카지노서지학개설』(윤병태, 이구출판사, 1983)
『圖書板本學要略』(屈萬理·昌彼得, 華岡出版有限公司, 1978)
『古書板本學』(洪北江, 洪氏出版社, 1982)
『日本書誌學槪說』(川瀨一馬, 講談社,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업 카지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업 카지노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업 카지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업 카지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