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게임 종류 금강공주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불전계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게임 종류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강공주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불전계 고전소설이다. 불교계 단편 번안소설로, 당나라 때 「추녀금강연기」의 이야기를 계승·발전시킨 것이다. 국문 필사본과 국문 활자본의 형태로 남아 있다. 외모가 추했던 금강공주는 부처의 신통력으로 미녀로 변신한다. 이러한 서사는 ‘추(醜)’와 ‘미(美)’를 통해 불교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박씨전」과도 관련된다. 이후 장편 가문소설에서 추녀는 여성 인물을 타자화시키는 데 활용되나, 「황부인전」은 「금강공주전」과 「박씨전」처럼 추녀가 현부로 변신하는 서사의 전통을 잇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불전계 고전소설.
이본 및 출전 사항

불교계 단편 번안소설로 ‘금광공주전’이라고 기록된 이본도 있다. 국문 필사본은 『여시아문록(如是我聞錄)』 · 『팔상명ᄒᆡᆼ녹(八相明行錄)』(보월찬집) · 『팔상녹(八相錄)』(무우자찬집) 등에 수록되어 있고, 국문 활자본은 안진호 편 『팔상녹』(1922), 이종익 편 『팔상록』(1978) 등에 삽입되어 있다.

이 작품은 여러 국문 이본을 통하여 유전되고 있지만, 불교 문헌 계통의 한문 저본을 가지고 있다. 불경에 속하는 저본에는 『현우경(賢愚經)』 권제2, 『찬집백연경(撰集百緣經)』 권제8, 『잡보장경(雜寶藏經)』 권제2, 『경률이상(經律異相)』 권제3·4 등에 수록된 파사익왕(波斯匿王)의 추녀 금강공주 이야기가 있다.

중국 당나라 때에 불경 고사를 쉽고도 재미있게 서사화했던 이른바 변문(變文)에 들어 있는 저본인 「추녀금강연기(醜女金剛緣起)」는 여러 이본으로 유전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저본 중 「금강공주전」은 주로 『현우경』과 『찬집백연경』의 것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경향이 뚜렷하다.

내용

「금강공주전」은 연기의 이치를 석가가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불교 경전 여러 곳에서 반복된다. 『팔상명ᄒᆡᆼ녹』에 수록된 작품 내용은 다음과 같다.

파사익왕의 공주는 지극한 추물이다. 자라서 성중의 가난한 집 아들의 아내가 되었지만 너무 못생겨서 규중심처에 갇혀 생활하는 신세가 된다. 어느 날 성중 대신과 장자들이 부부 동반 연회를 개최하였으나 부마는 혼자 참석한다.

이에 대신과 장자들이 추한 공주를 보기 위해서 다음 연회를 부마궁 후원에서 열기로 한다. 그러나 부마는 홀로 나오게 되고 대신과 장자들은 부마를 독한 술로 잠을 재운 후내당에 들어가 공주의 면모를 확인하려 든다.

다행히 공주는 이미 부처의 신통력으로 미모를 갖추게 되어 그들을 놀라게 한다. 이를 안 부마는 크게 환희하며, 부처의 위신을 찬탄하게 된다. 이 작품은 불교계 서사물로서 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평가와 의의

부처의 위신력과 참회 · 기도에 따르는 영험을 표면적으로 내세우면서도 미색과 권력을 초월하여 솟아나는 한 부부의 완전한 사랑을 내면적으로 묘파(描破)한 것이다. 이는 ‘추(醜)’와 ‘미(美)’를 통해 불교적 세계관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주제를 부각하기 위해 작가는 서사문학의 전형적인 구성법을 구사하여 고전소설의 구성 양식과 동일한 형태를 보여 준다.

표현 · 문체 면에서도 우리말의 전아한 어휘에 대화 중심의 구어체를 적용하고, 전형적 수사법을 활용함으로써 국문소설 문체의 요건을 제대로 갖추었다. 「금강공주전」을 국문소설로 규정할 때, 먼저 이 작품의 형성 과정이 주목된다. 이 작품은 불전설화를 연원으로 하여 형성된 계보가 비교적 분명하다.

따라서 이 작품의 형성 및 전개 과정이 정확히 파악된다면 국문소설사를 계통적으로 구명하는 하나의 디딤돌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추녀탈갑행운담(醜女脫甲幸運譚)’의 한 유형으로, 고전소설「박씨전」과의 관계가 중시된다. 추한 용모로 인해 여성은 불행함을 겪게 되지만, 외모가 변화된 이후 행복한 삶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는 불교 설화와 함께 우리나라 설화의 한 유형인 여성 이인 설화(女性異人說話) 유형의 이야기, 그리고 이슬람 지역에 살았던 유대인들의 「동물의 얼굴을 가진 여자」 이야기 등에서 볼 수 있다.

이후 소설사에서 추녀는 장편 가문소설과「황부인전」등을 통해 이어진다. 그러나 장편 가문소설에서는 추한 여성이 현부라는 설정이 사라지고 여성 인물을 타자화시키는 계기로 활용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황부인전」의 경우, 「금강공주전」과 「박씨전」처럼 추녀가 현부로 변신하는 서사의 전통을 잇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파사닉왕 추녀연』 79(대중불교회, 1976)
보월, 『팔상명행록』 권지팔(사재동 장본, 1912)
『신수대장경(新修大藏經) 본연부(本緣部)』 하
『찬집백연경(撰集百緣經)』 8

단행본

사재동, 「박씨전의 형성과정」(『장암지헌영선생고희기념논총』, 시문연구회, 1980)

논문

김환희, 「카지노 게임 종류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 속의 통과의례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 「지혜로운 추녀」와「얽고 검은 고동지」를 중심으로」(『비교카지노 게임 종류학』 22- 2, 국제비교카지노 게임 종류학회, 2014)
사재동, 「금광공주전에 대하여」(『동방학지』 23·24,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1980)
심혜경, 「불전계 소설의 서사방식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유수민, 「조선후기 한글소설 황부인전의 재창작 양상 소고 -삼국연의(三國演義) 및 중국서사전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비교문학』 67, 카지노 게임 종류비교문학회, 2015)
조혜란,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추모(醜貌) 연구 - 「유씨삼대록」의 순씨와 「임씨삼대록」의 목지란을 중심으로」(『카지노 게임 종류고전여성문학연구』 18, 카지노 게임 종류고전여성문학회,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게임 종류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카지노 게임 종류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게임 종류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 게임 종류]'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