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방도는 고려 성종 때 시행된 10도(十道)의 하나로서, 지금의 강원도 동부와 함경남도 남부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이다. 신라의 9주(九州) 중에서 명주(溟州) 북부와 삭주(朔州) 북부, 한주(漢州) 동북부, 그리고 고려 초기에 개척한 동북방 일원으로 구성되었다. 관내에 62개 현(縣)을 두고 이를 대략 17개의 주(州)로 편제하였다. 십도제가 폐지된 뒤 동계(東界)로 칭해졌다.
995년(성종 14)에 당나라의 10도를 본떠 편성한 도(道)의 하나이다. ‘삭방(朔方)’은 통상 북쪽의 변방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삭방도는 당나라의 10도에는 없지만 전쟁 때 지휘관인 총관(總管)의 직명(職名)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관내에 62개의 현이 있었으며, 기록상 이를 7개의 주로 편제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 주의 수는 17개 정도로 추정된다. 소속 관원으로는도호부사(都護府使)가 화주(和州: 지금의 영흥) 1곳에,단련사(團練使)가 동주(東州: 지금의 철원), 장주(獐州: 지금의 연천), 춘주(春州: 지금의 춘천), 교주(交州: 지금의 회양), 등주(登州: 지금의 안변),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 척주(陟州: 지금의 삼척) 등 7곳에,방어사(防禦使)가 고주(高州: 지금의 고원), 용주(湧州: 지금의 원산), 문주(文州: 지금의 문천) 등 3곳에 있었다.
고려가 변경 지역을양계(兩界)로 편성할 때 삭방도는동계(東界)가 되었다. 고려 중기에 서남부 일원이 교주도(交州道)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계 관내에 재정 감독과 관리 감찰을 담당하는감창사(監倉使)를 파견하는 구역으로 명주도(溟州道), 연해도(沿海道)와 함께 삭방도를 두었다. 이 중 삭방도는 북쪽의화주일원으로 짐작된다.
이후 몽골과 전쟁을 치르면서 동계 북부 지역은 몽골에 몰입되어카지노 미국C30D;카지노관할이 되었다가 공민왕 때 수복되었다. 남아 있던 동계 남부 지역은 강릉도(江陵道)로 편성되었고, 다시 교주도와 합쳐 교주강릉도로 칭해지다가 조선시대에 강원도가 되었다. 수복한 쌍성총관부 지역과 이후 새로 개척된 지역은 다시 동북면(東北面), 또는 삭방도라고 불렀으며, 조선에서 함경도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