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암유고』는 조선 후기 학자 정한채의 시와 산문을 엮어 1957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3권 1책, 연활자본으로 1957년 현손 치현(致鉉)과 정현(貞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도용(權道容)의 서문과 권말에 인현(仁鉉)·순각(淳恪)·정현 및 5대손 순상(淳祥)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카지노 꽁처 도서관,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3권 1책의 연활자본이다. 1957년 현손 치현(致鉉)과 정현(貞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도용(權道容)의 서문과 권말에 인현(仁鉉) · 순각(淳恪) · 정현 및 5대손 순상(淳祥)의 발문이 카지노 꽁.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학술카지노 꽁처 도서관,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는 고시 2수와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 355수가 수록되어 카지노 꽁. 권 2에는서(序)5편,기(記)14편,설(說)3편,잡저(雜著)6편,제문(祭文)2편이 카지노 꽁. 권3은 부록으로 문 2편,행장(行狀)· 서언(緖言) 각 1편, 간행시 4수,발(跋)4편이 수록되어 카지노 꽁.
시는 농촌의 소박한 풍경을 소재로 삼은 것, 계절의 변화를 소재로 삼은 것, 동식물과 명승 · 고적을 읊은 것 등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카지노 꽁. 대표적으로 「추야독좌(秋夜獨坐)」와 「추야조기(秋夜早起)」는 가을과 더불은 인생에의 회한을 읊은 것이고, 「제야(除夜)」와 「입춘(立春)」 역시 입춘과 제석의 시종을 강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인생의 허무감을 표현한 것이다. 「동과(冬瓜)」, 「목단(牧丹)」은 식물 묘사를 통하여 계절의 감각을 읊은 것이고, 「등지리산(登智異山)」, 「금산시(錦山詩)」는 지리산과 금산의 아름다운 모양을 다각도로 조명한 것이다.
서는 「유섬호시서(遊蟾湖詩序)」, 「퇴장암시서(退藏庵詩序)」 등 지인의 시문집에 대해 쓴 글이다.
기는 금산에 있는보리암(菩提庵)을 유람하고 쓴 「유보리암기(遊菩提菴記)」와 섬진강 어귀에 있는 섬호를 돌아보고 쓴 「유섬호기(遊蟾湖記)」 등의 산수유기와 「부계재기(鳧溪齋記)」와 「덕신재기(德新齋記)」와 같이 건물에 대해 쓴 누정기가 카지노 꽁.
설의 대표작인 「신루설(蜃樓說)」은 찾아온 나그네와 더불어 해상 신루의 모습에 대해 카지노 꽁을 나눈 것으로, 신루가 망상인 것처럼 인생도 신루와 같이 허무하다고 강조한 글이다.
잡저에는 「조이충무공문(吊李忠武公文)」과 같이이순신의 공적을 찬양한 글도 있고, 쌍계사를 유람하고 쓴 「유산일기(遊山日記)」나 진주 지방을 유람하고 쓴 「동유일기(東遊日記)」 등이 카지노 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