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사이트 쌍렬옥소삼봉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삼생기연(三生奇緣), 쌍렬옥소기봉(雙烈玉簫奇逢), 쌍렬옥소록(雙烈玉簫錄), 쌍렬옥소봉(雙烈玉簫逢), 옥소기봉(玉簫奇逢), 옥소삼봉(玉簫三逢)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쌍렬옥소삼봉」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위명과 그의 부인 양씨가 옥피리를 매개로 결연한 후 황위를 찬탈한 황제에 대한 절의 갈등으로 인해 이별과 만남을 반복하다가 세 번째에 이르러 화합하는 내용이다. 이는 남녀 기연(奇緣)의 서사구조에 충절이라는 주제가 결합된 것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1책. 국문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구성과 내용

이 작품은 군왕에 대한 절개를 주제로 한 윤리소설이다.

명나라의 개국공신 위현과 그의 다섯 아들은 태종 황제를 섬기며, 위현은 황제의 넷째 아들인 연왕의 스승이 된다. 위 공(위현)은 연왕을 친자식 같이 사랑하고, 연왕도 위 공의 자제들과 형제와 같이 지내며 서로 왕래한다. 태종 황제가 죽고 새 황제가 즉위하여 과거를 실시하자 위 공의 다섯째 아들 명이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다.

위 한림(위명)이 하루는 산으로 놀러 갔다가 백의선인(白衣仙人)을 만나 천상의 보배인 옥소(玉簫)를 전해 받고, 하늘이 정한 인연을 맺으라는 부탁을 듣고 돌아온다. 위 한림은 이모를 찾아갔다가 양 상서의 딸과 옥소로 화답하고, 양 상서의 딸이 하늘이 정해 준 인연임을 알고 그녀와 혼인한다.

연왕이 반란을 일으켜서 황제를 폐위(廢位)하고 황제가 되자, 위 공 부자는 벼슬을 계속 할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게 된다. 위 공은 새 황제의 사부였기 때문에 부득이 벼슬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위 공의 네 아들들도 벼슬을 하나, 오직 다섯째 아들인 명만이 벼슬하는 것을 거부한다.

위명은 옥에 갇히고 태형을 당하는 등 온갖 박해를 당하지만, 끝내 새 황제를 섬기지 않는다. 위명은 죽으려고 강물에 뛰어들었으나 한 어부가 위명을 건져 내어 죽지 못한다. 그러다 강가에 있는 누각(樓閣)에 이르러 배 위에서 한 노인이 옥소를 부는 소리를 듣고 그를 따라간다.

한편, 양 부인은 시가에서 쫓겨나 친정으로 갔다. 그러나 양 상서가 자신의 딸을 진왕에게 개가시키려고 하므로, 양 부인은 남장을 하고 남편을 찾아 나선다. 동정호에 이르러 남편을 발견한 양 부인이 노인에게 옥소를 주어 불게 한 것이다. 위명과 양 부인이 감격 속에 상봉하여 정담을 나누던 중 홀연 광풍이 크게 일어나, 양 부인이 타고 있던 배가 없어진다.

위명은 백호산 밑에 숨어 살고 있는 선조의 승상 서희조를 따라가, 그곳을 안식처로 삼고 지낸다. 위 공(위현)과 양 상서도 벼슬을 그만두고 백호산으로 서 승상(서희조)을 찾아오니, 위 공과 위명 부자가 상봉한다. 위명은 양 부인을 잊을 수 없어 서 학사의 딸과 재혼하라는 권고도 듣지 않고 독신으로 지낸다.

한편, 풍파를 만나 낭군을 잃은 양 부인은 부처님의 지시를 받고 백호산으로 찾아온다. 산 위에서 두 사람이 만나 큰 기쁨을 나눈다. 그 뒤로 위명은 선도(仙道)를 닦아 세상에 나오지 않고 인간의 수명을 다하고 승천하니, 세상 사람들이 위 학사와 양 부인의 열절(烈節)과 옥소삼봉(玉簫三逢)을 칭찬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주인공 위명의 군왕에 대한 절개와 함께, 남편에 대한 양 부인의 정절, 아내에 대한 위명의 절개를 일관된 주제로 그리고 있다. 이는 남녀 기연(奇緣)의 서사 구조에 충절이라는 주제가 결합된 것이다.계유정난과 유사한 역사 경험에 대한 흥미를 기반으로, 정난지변이라는 제위 찬탈의 역사를 차용하였다. 그래서 임금에 대한 충절과 가문 창달이라는 중요한 가치 중 어느 것을 우위에 둘 것이냐 하는 문제를 제기하면서 정통론적 충절 의식을 드러내는 데에 중점을 둔 작품이다.

또, 고전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성의 황당한 전기성(傳奇性)이나 기적 같은 우연성은 전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현실적으로 전개되어 있다. 주제의 표현에 있어서도, 주인공의 언어와 행동을 통하여 구체적이고도 강렬하게 부각시켰다. 이를 통하여 독자에게 충신의 영상이 가슴 깊이 스미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김기동 편, 「쌍렬옥소삼봉」(『필사본 고전소설전집』 14, 아세아카지노사이트사, 1980)

논문

김동욱, 「고전소설의 정난지변(靖難之變) 수용 양상과 그 의미」(『고소설연구』 41, 카지노사이트고소설학회, 2016)
박영희, 「〈쌍렬옥소삼봉〉의 중국 역사 수용」(『새국어교육』 82, 카지노사이트국어교육학회, 2009)
정희경, 「〈쌍열옥소삼봉〉의 갈등 구성 방식으로 본 작자 의식」(『어문논총』 66, 카지노사이트문학언어학회, 2015)
조광국, 「고전소설에서의 사적 모델링, 서술의식 및 서사구조의 관련 양상: 「옥호빙심」「쌍렬옥소삼봉」「성현공숙렬기」「쌍천기봉」을 중심으로」(『카지노사이트문화』 28, 서울대학교 규장각카지노사이트학연구원, 2001)
관련 카지노사이트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카지노사이트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카지노사이트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카지노사이트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