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산(長壽山) 1」은 「장수산 2」와 함께 1939년 3월『문장(文章)』2호에 발표되었고, 1941년 9월 문장사(文章社)에서 간행한정지용의 두 번째 시집인『백록담(白鹿潭)』에 수록되었다.
「장수산 1」은 1연 1행의 자유시이다. 문장이 종결되는 부분에 마침표를 사용하지 않고, 줄글로 이어진 구절 사이사이에 뚜렷하게 구분되는 휴지부를 두어 호흡과 여운을 부여한다.
이 시는 겨울밤 깊은 산의 적막한 풍경을 통해 시름을 견디고 고요와 평정에 이르고자 하는 탈속적 삶의 지향을 그린 작품이다. 깊은 산의 고요와 흰 눈과 달빛으로 조화를 이룬 밤의 정경이 중심 소재가 되어 정결한 정신의 세계를 펼쳐낸다.
‘벌목정정(伐木丁丁)’은『시경(詩經)』의 「소아(小雅) 벌목(伐木)」 편에 등장하는 구절로, 산에서 커다란 나무를 벨 때 쩡하며 울리는 큰 소리를 뜻한다. 겨울밤 깊은 산의 정경은 ‘아름드리 큰 소나무가 베어지면 골짜기가 울려 쩌르렁 메아리 소리가 돌아올’ 정도로 적막하다. 다람쥐나 산새 같은 작은 동물의 기척조차 들리지 않는 깊은 고요는 ‘뼈를 저리는’ 감각적 이미지로 표현된다. 보름달 달빛은 눈 내린 밤의 산속을 하얗게 밝히고, 산길을 걷는 “웃절 중”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섯 판에 여섯 번 지고 웃고 올라” 가는 중은 세속의 이해관계를 초탈하여 마음의 평정을 얻은 인물로, 그와 달리 화자는 “바람도 일지 않는 고요”를 체감하고도 시름에 흔들리는 존재이다. ‘오오 견디란다 차고 올연히 슬픔도 꿈도 없이’라는 다짐은 마음속 번뇌를 다스려 장수산의 정경처럼 고요와 평정에 이르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 시는 선경후정(先景後情)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여 장수산의 고요한 정경을 통해 시름을 견디는 의지를 드러낸다.
이 시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서 주를 이루는산수시(山水詩)를 대표하며, 동양 시가의 전통을 이루는 정경교융(情景交融)과 여백의 묘미를 새롭게 창조했다는 점에서 현대시의 가능성을 확장한 작품으로 평가된다.